지난주 지하철을 탈 때 지갑을 집에 두고 나온 경험이 있나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아이폰에 티머니를 등록해서 정말 편하게 쓰고 있어요. 애플페이가 드디어 교통카드를 지원하면서 지갑 없이도 대중교통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거든요. 하지만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은 어떤 앱으로 충전해야 하고, 어떤 결제 수단을 써야 하는지 헷갈리기도 하네요. 오늘은 아이폰 티머니 충전금액을 바로 등록하는 모든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현대카드 있을 때 아이폰 지갑앱에서 충전
현대카드를 애플페이에 이미 등록했다면, 정말 간단해요. 아이폰 지갑 앱 하나로 모든 게 끝나거든요.
- 아이폰의 기본 앱인 ‘지갑’ 열기
 - 우측 상단의 ‘+’ 버튼 누르기
 - ‘교통카드’ 선택하기
 - 목록에서 ‘대한민국 T-money’ 선택
 - 충전 금액 선택 (1만원, 3만원, 5만원 단위)
 - 현대카드로 결제 완료
 
처음 등록할 때부터 충전금액을 정해야 해요. 최소 1천원부터 최대 9만원까지 가능하네요. 결제가 완료되면 바로 아이폰 지갑에 티머니 카드가 등록되고,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어요.
| 항목 | 내용 | 
|---|---|
| 최소 충전액 | 1,000원 | 
| 최대 충전액 | 90,000원 | 
| 충전 단위 | 1만원, 3만원, 5만원 등 | 
| 결제수단 | 애플페이 등록 현대카드만 가능 | 
현대카드 없을 때 모바일 티머니앱으로 충전
현대카드가 없거나, 애플페이에 등록 안 했다면 어떻게 할까요? 걱정하지 마세요. 모바일 티머니 앱을 쓰면 돼요. 계좌이체도 가능하고, 일반 신용카드도 쓸 수 있거든요.
- 앱스토어에서 ‘모바일 티머니’ 앱 설치
 - 카카오뱅크, 토스, 휴대폰 중 편한 방법으로 본인 인증 및 로그인
 - 메인 화면에서 ‘교통카드’ 메뉴 선택
 - 새로운 아이폰 티머니 카드 발급
 - 원하는 충전 금액 입력
 - 결제수단 선택 (계좌, 신용카드, 카카오페이 등)
 - 충전 완료 후 아이폰 지갑에 자동 추가
 
모바일 티머니 앱을 쓸 때는 더 다양한 결제수단이 가능해요. 국내 은행 계좌로 직접 송금할 수도 있고, 신용카드를 쓸 수도 있거든요. 게다가 기존에 실물 티머니 카드를 쓰던 사람들은 T마일리지로 충전할 수도 있어요.
| 충전 방법 | 지갑앱 이용 | 모바일티머니앱 이용 | 
|---|---|---|
| 카드 결제 | 현대카드만 가능 | 현대카드, 일반 신용카드 | 
| 계좌 이체 | 불가능 | 가능 | 
| 마일리지 사용 | 불가능 | 가능 | 
| 모바일페이 | 불가능 |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 
자동충전 설정으로 신경 끄고 사용
매번 충전하는 게 번거롭다면 자동충전 기능을 꼭 써봐요. 한 번 설정해두면 잔액이 떨어질 때마다 자동으로 충전되거든요.
애플 지갑앱에서 자동충전 설정하기:
- 지갑 앱에서 티머니 카드 선택
 - 우측 상단 설정 버튼(···) 터치
 - ‘자동충전’ 옵션 활성화
 - 기준 잔액 설정 (예: 5천원 이하일 때)
 - 충전 금액 선택 (예: 1만원)
 - 결제 승인 후 완료
 
모바일 티머니앱에서도 마찬가지로 자동충전을 설정할 수 있어요. 카드 화면에서 자동충전 토글을 켜고, 기준 금액과 충전 금액만 정하면 끝이에요. 언제든지 설정을 바꾸거나 자동충전을 꺼낼 수 있으니까 안심하고 써도 돼요.
지하철 충전기로 현금 충전
앱이 없거나 카드가 없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어요. 그럴 때는 지하철 충전기를 이용해서 현금으로 직접 충전할 수 있어요. 애플 지갑 앱에서 몇 가지 조작을 거쳐서 지하철 충전기와 연동하면 되네요.
- 애플 지갑 앱의 티머니 카드 선택
 - 우측 상단 설정 버튼(···) 터치
 - ‘충전소에서 충전’ 또는 ‘외부 충전’ 옵션 확인
 - 지하철역 내 충전기로 이동
 - 아이폰의 후면을 충전기에 대기
 - 화면 안내에 따라 현금 입금 후 충전 완료
 
이 방법은 정말 편리한데, 아이폰 NFC 기능을 통해 직접 충전기와 통신하기 때문에 앱을 켤 필요가 없어요. 외출 중에 앱이 안 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정말 유용하네요.
아이폰 티머니 충전 오류 해결법
충전이 제대로 안 되는 경험을 해본 분들이 많아요. 간단한 해결법들이 있으니 차근차근 따라해보세요.
충전이 안 될 때 확인사항:
- 아이폰 iOS 버전이 최신인지 확인 (iOS 16.1 이상 필요)
 - Wallet 앱에서 티머니 카드가 올바르게 등록됐는지 확인
 - NFC 기능이 켜져있는지 확인 (보통 기본으로 켜있음)
 - 결제 수단 카드가 유효한지 확인 (유효기간, 한도)
 - 인터넷 연결 상태 확인
 - 아이폰 재부팅 시도
 - 앱 캐시 삭제 후 재시도
 
최소 충전 금액이 1천원인데, 그 이하로 충전하려고 하면 실패해요. 그리고 한 번에 9만원을 초과해서 충전할 수도 없으니까 꼭 기억해두세요.
익스프레스 모드로 더 빠르게 사용
아이폰 티머니의 가장 큰 장점은 익스프레스 모드네요. 핸드폰을 켤 필요도 없고, 페이스 ID나 터치 ID로 인증할 필요도 없어요. 그냥 아이폰 뒤를 리더기에 대기만 하면 돼요.
익스프레스 모드는 기본으로 활성화되어 있어요. 지하철이나 버스 탑승 시 아이폰이 꺼져 있어도 바로 인식되거든요. 배터리가 완전히 없어지기 직전까지 작동하기 때문에 거의 항상 쓸 수 있다고 봐도 돼요.
애플워치에도 티머니 등록하기
애플워치가 있다면 더 편하게 쓸 수 있어요. 지갑 앱에 등록한 티머니를 애플워치에도 추가할 수 있거든요.
- 아이폰의 Watch 앱 실행
 - ‘지갑 및 Apple Pay’ 메뉴 선택
 - ‘카드 추가’ 옵션에서 티머니 선택
 - 이미 지갑에 있는 티머니 카드가 자동 인식
 - 확인 후 완료
 
애플워치에 등록하면 손목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요. 지갑을 꺼내거나 아이폰을 꺼낼 필요가 없으니까 정말 편하네요.
T마일리지로 실물카드 잔액 옮기기
기존에 쓰던 실물 티머니 카드가 있다면, 그 잔액을 모바일 티머니로 옮길 수 있어요. T마일리지를 거쳐서 진행하면 되네요.
- 모바일 티머니 앱 실행
 - 왼쪽 메뉴(≡) 선택
 - ‘티머니카드’ 메뉴에서 ‘잔액조회’ 선택
 - 실물 카드를 아이폰 뒤에 대기
 - 카드 잔액이 조회되면 ‘T마일리지로 보내기’ 옵션 선택
 - 다시 카드를 아이폰 뒷면에 대기
 - 실물 카드의 모든 잔액이 T마일리지로 이전됨
 - 이 마일리지로 모바일 티머니 충전 가능
 
이 방법을 쓰면 기존 카드의 남은 잔액을 아무것도 낭비 안 하고 그대로 옮길 수 있어요. 정말 영리한 방법이네요.
자주 묻는 질문
| 질문 | 답변 | 
|---|---|
| 아이폰 지갑과 모바일 티머니 앱 중 어떤 걸 써야 하나요? | 현대카드가 있으면 지갑 앱, 없으면 모바일 티머니 앱을 쓰는 게 편해요. 둘 다 설치해도 괜찮아요. | 
| 충전 금액에 제한이 있나요? | 최소 1천원, 최대 9만원까지 가능해요. | 
| 자동충전은 꼭 써야 하나요? | 선택 사항이에요. 매번 수동으로 충전해도 되고, 자동충전을 켜도 돼요. | 
| 아이폰이 꺼져있어도 사용 가능한가요? | 네, 익스프레스 모드 덕분에 가능해요. 배터리가 완전히 없을 때까지 작동해요. | 
| 환불은 어떻게 하나요? |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환불 신청할 수 있어요. 공식 계정으로 입금받으면 돼요. | 
아이폰 티머니 충전금액 등록은 정말 간단해요. 현대카드가 있으면 지갑 앱에서, 없으면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진행하면 되니까요. 한 번 등록해두고 자동충전까지 설정하면, 앞으로 지갑 없이 편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요. 처음엔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한 번 따라해보면 정말 쉽다는 걸 느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