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감액기준 월 509만원까지 완화 소식

image 28

얼마 전 지인이 정년퇴직 후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면서 “국민연금 받으면서 일하면 연금이 깎인다던데 정말인가요?”라고 물어보더라고요. 실제로 많은 분들이 은퇴 후에도 소득 활동을 계속하고 싶어 하는데, 국민연금 감액제도 때문에 고민이 많으시더라고요. 다행히 정부에서 2025년 8월에 반가운 소식을 발표했어요. 지금까지는 월 308만원만 넘어도 연금이 깎였는데, 앞으로는 509만원까지 감액하지 않기로 했거든요.

2025년 국민연금 A값 감액기준 현황

현재 국민연금 감액기준은 A값이라고 불리는 평균소득월액을 기준으로 해요. 2025년 A값은 308만 9,062원인데, 이 금액을 넘는 소득이 있으면 연금이 일부 감액돼요. 많은 분들이 이 기준을 몰라서 뒤늦게 당황하시는 경우가 많아요.

감액 대상자는 계속 늘고 있어요. 2023년 기준으로 약 15만 명이 감액 대상이었는데,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와 함께 이 숫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에요.

구분2025년 기준비고
A값(평균소득월액)308만 9,062원감액 시작 기준
감액 상한노령연금의 50프로최대 감액 한도
감액 대상자약 15만 명2023년 기준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 계산하기

감액 계산법은 생각보다 복잡해요. 초과소득월액 구간에 따라 차등으로 감액률이 적용되거든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아요.

초과소득월액이 A값의 100분의 25 이하인 경우에는 초과분의 5프로가 감액돼요. 100분의 50 이하면 10프로, 100분의 75 이하면 15프로, 100분의 100 이하면 20프로, 그 이상이면 25프로가 감액되는 방식이에요.

실제 감액 계산 사례

예를 들어 월급 400만원을 받는 직장에 다니고 있고, 국민연금을 월 150만원 받는다고 가정해봐요. A값 308만원을 92만원 초과하니까 이 초과분에 대해 감액이 적용돼요.

92만원은 A값의 약 30프로에 해당하니까 초과분의 10프로인 9만 2천원이 연금에서 깎여요. 결국 150만원 – 9만 2천원 = 140만 8천원을 받게 되는 거죠.

초과소득월액 구간감액률예시(92만원 초과시)
A값의 25프로 이하5프로해당없음
A값의 50프로 이하10프로9만 2천원 감액
A값의 75프로 이하15프로해당없음

국민연금 509만원 감액기준 완화 정책

정부에서 2025년 8월에 발표한 개선방안이 정말 반가워요. 2026년부터는 월 509만원까지는 국민연금을 감액하지 않기로 했거든요. 이건 현재 A값인 308만원보다 200만원 넘게 높아진 수치예요.

이 정책은 2025년 9월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발표되고, 연말까지 관련 법률 개정을 완료할 예정이에요. 실제 적용은 2026년부터 시작되니까, 내년부터는 월 500만원 넘게 벌어도 국민연금 걱정 없이 일할 수 있게 돼요.

새로운 감액기준 변화 비교

구분현행(2025년)개선안(2026년~)차이
감액 시작 기준308만 9천원509만원+200만원
혜택 대상자약 15만명 감액대다수 감액 면제대폭 확대
정책 효과활발한 소득활동 제약고령자 경제활동 활성화경제 활력 증대

감액 없이 일할 수 있는 소득 수준 파악

2026년부터는 월 509만원까지는 마음 놓고 일할 수 있어요. 현재 기준으로 보면 정말 큰 변화인데, 대부분의 시니어 일자리나 파트타임 근무는 이 기준 안에 들어올 거예요.

실제로 통계를 보면 60세 이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월 300만원 정도니까, 새로운 기준이 적용되면 감액 걱정 없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분들이 대폭 늘어날 거예요.

연령별 소득활동 가능 수준

60대 초반의 경우 아직 체력도 좋고 경험도 풍부해서 상당한 수준의 소득활동이 가능해요. 새로운 기준이 적용되면 이들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60대 후반이나 70대 분들은 대부분 파트타임이나 단순 업무 위주로 일하시는데, 이런 경우는 509만원을 넘기 어려우니까 거의 모든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국민연금공단 감액 신고 하기

소득이 있으면 반드시 국민연금공단에 신고해야 해요. 신고하지 않으면 나중에 발각될 때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거든요. 신고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전화로 간단하게 할 수 있어요.

신고할 때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등 모든 소득을 포함해야 해요. 일시적인 소득이나 부업 소득도 모두 합산해서 계산하니까 꼼꼼히 체크해보세요.

매월 소득이 달라진다면 3개월마다 평균을 내서 계산해요. 그래서 어떤 달은 많이 벌고 어떤 달은 적게 벌어도 평균적으로 기준 이하면 감액되지 않아요.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감액 변화

국민연금 감액기준 완화와 함께 기초연금 부부 감액도 단계적으로 축소할 예정이에요. 현재는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으면 각각 20프로씩 감액되는데, 이것도 점차 줄여갈 계획이라고 해요.

이런 변화들이 모두 적용되면 고령자분들의 노후 소득 보장이 훨씬 나아질 것 같아요. 연금 받으면서도 원하는 만큼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되니까요.

제도현행개선 방향
국민연금 감액월 308만원 초과시월 509만원 초과시
기초연금 부부감액각각 20프로 감액단계적 축소 계획
시행 시기2026년부터

2026년 이후 노후 설계 전략

새로운 기준이 적용되면 노후 설계도 달라져야 해요. 기존에는 연금 감액 때문에 소득활동을 자제했다면, 이제는 좀 더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계획할 수 있어요.

특히 전문직이나 기술직에 종사했던 분들은 프리랜서나 컨설팅 업무로 상당한 소득을 올릴 수 있는데, 509만원 기준이면 충분히 활용 가능할 거예요.

다만 이 기준도 매년 물가상승률이나 임금상승률에 따라 조정될 가능성이 있으니까, 관련 정보를 꾸준히 체크해보시는 것이 좋아요.